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32

Git의 사용 흐름 정리 Git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흐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Git에는 여러 가지 중요한 개념들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Git을 실수 없이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음 4가지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좋습니다. 간단한 질문에 답하면서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Git의 핵심 구조와 파일의 상태 변화 Git의 핵심 구조는 working directory, staging area, 그리고 repository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working directory에서는 실제 파일을 수정하며, 이 변경 사항을 다음 커밋에 반영하기 위해 Stage에 보관합니다. git commit 명령어를 사용하면, staging area에 준비된 변경 사항이 repository로 이동하며, 새로운 버전이 생성됩니다... 2023. 10. 27.
Git ignore 살펴보기 우리는 working directory에 있는 파일들을 git add git commit 하면서 프로젝트를 버전 관리합니다. 그런데 working directory 안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Git에 의해 그 존재 자체가 무시되는 파일들이 있습니다. 1. .gitignore 파일 살펴보기 잠깐 아래 그림을 볼까요? 지금 GitHub에서 Mathbox라는 레포지토리를 만들려고 하는데요. 여기서 화면 하단을 보면 Add .gitignore: None 이라는 설정 탭이 보입니다. 이 말은 .gitignore 파일을 만들지 않겠다는 뜻입니다. .gitignore 파일이 뭘까요? .gitignore 파일은 working directory 내에 존재하는 파일들 중에서 마치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Git이 인식해야할 파일.. 2023. 10. 26.
Git stash 알아보기 1. 작업 내용 저장 git stash 2. 작업 내용 조회(=스택 살펴보기) git stash list 3. 작업 내용 적용 git stash apply [작업 내용의 아이디] 작업 내용의 아이디를 생략하면 가장 최근의 작업 내용이 적용됨 4. 작업 내용 제거 git stash drop [작업 내용의 아이디] 작업 내용의 아이디를 생략하면 가장 최근의 작업 내용이 제거됨 작업 내용을 적용하면서 동시에 스택에서 제거도 해주는 커맨드도 있습니다. git stash pop [작업 내용의 아이디] 이라는 커맨드입니다. 이 커맨드를 쓰면 특정 작업 내용을 적용함과 동시에 그것을 스택에서 제거합니다. 어떤 커맨드인지 직접 보여드릴게요. 1. git stash 하기 아래 그림과 같은 README.md 파일을 갖고 .. 2023. 10. 26.
Git에서 자주 쓰는 커맨드 모음 [Git 써보기] git init : 현재 디렉토리를 Git이 관리하는 프로젝트 디렉토리(=working directory)로 설정하고 그 안에 레포지토리(.git 디렉토리) 생성 git config user.name 'codeit' : 현재 사용자의 아이디를 'codeit'으로 설정(커밋할 때 필요한 정보) git config user.email 'teacher@codeit.kr' : 현재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를 'teacher@codeit.kr'로 설정(커밋할 때 필요한 정보) git add [파일 이름] : 수정사항이 있는 특정 파일을 staging area에 올리기 git add [디렉토리명] : 해당 디렉토리 내에서 수정사항이 있는 모든 파일들을 staging area에 올리기 git add ... 2023. 10. 24.
Git의 3가지 작업 영역과 파일의 상태 Git은 내부적으로 크게 3가지 종류의 작업 영역을 두고 동작합니다. 각 작업 영역의 이름은 working directory staging area repository 입니다. 첫 번째 작업 영역인 working directory는 작업을 하는 프로젝트 디렉토리를 말합니다. 그러니까 지금 상황에서는 MathTool 디렉토리가 working directory입니다. 두 번째 작업 영역인 staging area는 git add를 한 파일들이 존재하는 영역입니다. 커밋을 하게되면 staging area에 있는 파일들만 커밋에 반영됩니다. 세 번째 작업 영역인 repository는 working directory의 변경 이력들이 저장되어 있는 영역입니다. 그러니까 커밋들이 저장되는 영역이라는 뜻인데요. work.. 2023. 10. 24.
유닉스에서 사용하는 '파일과 디렉토리' 커맨드 정리 pwd (print working directory) 사용법: pwd 현재 디렉토리 (working directory)의 경로를 출력합니다. cd (change directory) 사용법: cd [PATH] 예: cd dir1 PATH 경로에 해당하는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아무 아규먼트 없이 cd를 하면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을 사용하면 이전 경로로 돌아갑니다. cd path/to/foo (foo 디렉토리로 이동) cd path/to/bar (bar 디렉토리로 이동) cd - (다시 foo 디렉토리로 이동) ls (list) 사용법: ls [-al] [PATH] 예: ls -al dir1 PATH에 해당하는 디렉토리 / 파일 정보를 보여줍니다. PATH 아규먼트를 안 주면 현재 디렉토리.. 2023. 10.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