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생성형 AI를 다루다 보면 정말 “이거 아닌데...” 싶은 결과 받을 때 많죠.
원하는 걸 정확히 얻으려면 결국 프롬프트(질문)를 잘 짜는 게 핵심인데, 이걸 체계적으로 배우는 게 바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입니다.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란?
간단히 말하면, AI에게 더 정확하고 유용한 답을 얻기 위한 질문 작성 기술입니다.
예를 들어,
- ❌ 그냥: “마케팅 문구 써줘”
- ✅ 제대로: “20대 여성을 타깃으로 한, 따뜻하고 신뢰감 있는 톤의 마케팅 문구 3개 작성해줘”
이렇게 구체적이고 구조적인 지시를 하면 AI는 훨씬 더 유능해집니다.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7가지 기법, 실전 활용법까지!
1. 명확하고 구체적인 지시
왜 중요할까?
AI는 인간처럼 맥락을 “눈치”로 파악하진 못합니다.
입력된 문장이 곧 전부예요. 그래서 말할 때 최대한 “구체적인 단서”를 줘야 원하는 결과가 나옵니다.
어떻게 쓰나?
- 누가 읽을지 (대상)
- 어떤 톤인지 (톤)
- 형식은 뭔지 (형태)
- 목적이 뭔지 (의도)
예시
❌ 그냥: "소개글 써줘"
✅ 제대로: "IT 스타트업 인스타그램에 올릴, 20대 직장인 대상, 신뢰감 있는 톤의 브랜드 소개글 100자 이내로 써줘"
2. 예시를 함께 제공하기
왜 중요할까?
AI는 수많은 텍스트에서 패턴을 학습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예시”를 주면, 그 스타일과 구조를 참고해 더 유사한 결과물을 만듭니다.
어떻게 쓰나?
- 텍스트 예시
- 표 예시
- 코드 예시
- 출력 모양 예시
예시
👉 "이 스타일 참고해서 써줘"
예시:
신뢰를 주는 브랜드는 언제나 고객의 목소리에 귀 기울입니다. 우리의 여정은 고객과 함께 성장하는 이야기입니다.
3. 역할(Role) 설정
왜 중요할까?
AI는 정체성이 없습니다. 하지만 **“너는 누구야”**라고 정해주면, 그 역할에 맞춰 말투와 정보 선택이 달라집니다.
특정 전문 분야에서 특히 강력합니다.
어떻게 쓰나?
- “당신은 프로 마케터입니다”
- “UX 디자이너의 시선으로 설명해줘”
- “초등학생 선생님처럼 쉽게 설명해줘”
예시
👉 "너는 영어 선생님이야. 중학생이 이해할 수 있도록 현재완료 시제를 설명해줘."
4. 마크다운 & 제약 조건
왜 중요할까?
AI에게 결과의 형식과 조건을 명시하지 않으면 결과가 흐릿하거나 길어집니다.
마크다운은 보기 좋은 결과를, 제약 조건은 실용적인 결과를 보장합니다.
어떻게 쓰나?
- 마크다운: **굵게**, - 리스트, > 인용문 등
- 제약 조건: "300자 이내", "표 형식", "번역하지 말 것"
예시
👉 "표 형식으로 3가지 SNS 마케팅 전략을 요약해줘. 한 줄 설명 포함해서."
5. 멀티 페르소나 기법
왜 중요할까?
AI는 동시에 여러 관점을 모방할 수 있습니다.
이 기법을 활용하면 다양한 입장에서의 시선, 대화, 비교 분석이 가능합니다.
어떻게 쓰나?
- "소비자 입장 vs 판매자 입장 정리해줘"
- "A 캐릭터와 B 캐릭터의 대화 형식으로 설명해줘"
- "마케터, 디자이너, 개발자 각자 관점에서 분석해줘"
예시
👉 "고객(20대 여성)과 매장 직원의 대화를 통해 핸드백 구매 경험을 보여줘."
6. 후카츠 프롬프트 기법
왜 중요할까?
프롬프트가 복잡하거나 작업이 단계적인 경우, 이 방식이 특히 유용합니다.
일본의 후카츠 마사노리가 만든 구조적 접근법으로, 논리적인 흐름과 일관된 결과를 이끌어냅니다.
구조
명령문: 당신은 ○○입니다.
제약 조건: ○○하지 말 것, ○○로 출력
입력문: ○○에 대한 정보
출력 형식: ○○으로 요약
예시
👉 "당신은 콘텐츠 마케터입니다. 아래 정보를 바탕으로 블로그용 글감을 3개 제안해 주세요.
제약 조건: 20대 여성 대상, SNS에서 공유하기 좋은 형식"
7. 이어쓰기 기법
왜 중요할까?
AI가 긴 맥락을 유지하며 글을 쓰게 하려면, 한 번에 다 쓰게 하기보다는 부분적으로 쓰고 이어가는 방식이 훨씬 안정적입니다.
어떻게 쓰나?
- 도입부 요청 → 결과 확인
- 중간부 요청 → 연결 확인
- 결말 요청 → 전체 마무리
예시
👉 “블로그 글 서론 써줘 → 다음으로 본문 1단락 이어줘 → 결론 단락 써줘”
🎯 정리하면
기법 | 핵심 포인트 | 활용 상황 |
구체적 지시 | 대상, 톤, 형식, 목적 명확히 | 어떤 작업이든 |
예시 제공 | 결과의 패턴 유도 | 스타일 중요할 때 |
역할 설정 | 관점과 말투 정하기 | 전문 분야 콘텐츠 |
마크다운/제약 | 보기 좋고 실용적 결과 | 문서, 블로그, 보고서 |
멀티 페르소나 | 다양한 시선 확보 | 비교, 대화, 시나리오 |
후카츠 기법 | 구조적이고 논리적 요청 | 복잡한 작업 |
이어쓰기 | 맥락 유지 & 품질 높이기 | 장문 콘텐츠 |
✨ 지금이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배울 때!
요즘 시대에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단순 기술이 아니라 창의력을 현실로 바꾸는 도구입니다.
질문 하나만 잘 던져도, 그 결과물은 생각 이상일 수 있습니다.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공지능 시대의 필수 도구, ChatGPT 제대로 활용하는 법 (2) | 2025.04.12 |
---|---|
초보자도 쉽게 따라하는 AI 오피스 자동화 가이드 (0) | 2025.04.10 |
ChatGPT, 이제는 꼭 알아야 할 시대! 어떻게 시작하나요? (0) | 2025.04.07 |
'에듀핏' 완전 정복! AI로 수업자료부터 웹앱까지 한 번에 만드는 방법 (0) | 2025.04.06 |
누구나 개발자가 될 수 있는 시대! AI 코딩 툴 3가지 비교 분석 (0) | 2025.04.06 |